Scope
스코프란?
- 스코프는 자바스크립트를 포함한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적이며 중요한 개념
- var , let,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의 스코프는 다르게 동작
- 스코프: 모든 식별자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다른 코드가 식별자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 범위가 결정된다.
- 스코프는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
- 식별자 결정: JS 엔진은 이름이 같은 두 개의 변수 중에서 어떤 변수를 참조해야할 것인지를 결정
- 스코프는 JS 엔진이 식별자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규칙
- 스코프를 통해 식별자인 변수이름의 충돌을 방지하여 같은 이름의 변수를 사용할 수 있게 함
- 스코프 내에서 식별자는 유일해야 하지만 다른 스코프에는 같은 이름의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.
-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같은 스코프 내에서 중복선언 허용 → 변수값이 재할당 된ㄴ 것
< 코드가 어디서 실행되며 주변에 어떤 코드가 있는지 = 렉시컬 환경
코드의 문맥은 렉시컬 환경으로 이루어짐 → 이를 구현하면 실행 컨텍스트
모든 코드는 실행컨텍스트에서 평가되고 실행됨>
스코프의 종류
-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자신이 유효한 범위인 스코프가 결정
- 전역에서 선언된 변수 → 전역 스코프를 가짐.
- 어디서든지 참조가능
- 지역에서 선언된 변수 → 지역 스코프를 가짐
- 자신의 지역 스코프와 하위 스코프에서 유효
- 전역에서 선언된 변수 → 전역 스코프를 가짐.
스코프 체인
- 함수는 중첩될 수 있음 → 함수의 지역 스코프도 중첩될 수 있음
- 스코프가 함수의 중첩에 의해 계층적 구조를 가짐.
- 중첩 함수의 지역 스코프는 중첩 함수를 포함하는 외부 함수의 지역 스코프와 계층적인 구조를 가짐
- 외부 함수의 지역 스코프를 중첩 함수의 상위 스코프라고 함
- 모든 스코프는 하나의 계층적 구조로 연결, 모든 지역 스코프의 최상위 스코프는 전역 스코프
- 스코프가 계층적으로 연결된 것을 스코프 체인 이라고 함
- 변수를 참조할 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 체인을 통해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하여 상위 스코프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언된 변수를 검색
- 상위 스코프에서선언한 변수를 하위 스코프에서 참조 가능
<스코프 체인은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을 단방향으로 연결
전역 렉시컬 환경은 코드가 로드되면 곧바로 생성되고 함수의 렉시컬 환경은 함수가 호출되면 곧바로 생성>
스코프 체인에 의한 변수 검색
- JS엔진은 스코프 체인을 따라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해서 상위 스코프 방향ㅇ으로 이동하며 선언된 변수를 검색
- 상위 스코프에서 유효한 변수는 하위 스코프에서 자유롭게 참조할 수 있지만 하위 스코프에서 유효한 변수를 상위 스코프에서 참조할 수 없음
함수 레벨 스코프
- 코드블록이 아닌 함수에 의해서만 지역 스코프가 생성된다는 의미
- var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(함수 몸체)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.
블록 레벨 스코프
-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지역 스코프를 만드는 방법
- 함수 몸체만이 아니라 모든 코드 블록이 지역 스코프를 만듦
- let키워드, const 키워드
렉시컬 스코프
동적 스코프
-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에 따라 함수의 상위 스코프 결정
- 함수를 정의하는 시점에는 함수가 어디서 호출될지 알 수 없고 호출되는 시점에 동적으로 상위 스코프를 결정해야 함
렉시컬 스코프(정적 스코프) → JS 비롯한 대부분 언어
-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함수의 상위 스코프 결정
- 함수 정의가 평가되는 시점에 상위 스코프가 정적으로 결정
- 함수가 호출된 위치는 상위 스코프 결정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음.
- 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언제나 자신이 정의된 스코프
- 함수 정의가 실행되어 생성된 함수 객체는 이렇게 결정된 상위 스코프를 기억.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참조할 필요가 있기 때문.
'FE 기술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Script) 명령형, 선언형의 차이 (0) | 2023.04.24 |
---|---|
JavaScript) 상속 (0) | 2023.04.24 |
JavaScript) Class와 함수의 차이 (0) | 2023.04.24 |
JavaScript) 다양한 함수 선언 방식 (0) | 2023.04.24 |
JavaScript) static 메서드와 class (0) | 2023.04.24 |